생산관리 KPI 항목 10가지 완전정리

제조업의 생산관리자는 매일 숫자로 말하고, 숫자로 평가받습니다. 그 중심에는 바로 KPI(핵심성과지표)가 있습니다. KPI는 공장의 효율과 품질을 수치화하여 개선 방향을 설정하고, 성과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실무에서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. 이 글에서는 생산관리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KPI 항목 10가지를 선정하여, 각각의 의미와 측정 방법, 현장 적용 팁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
1. 납기 준수율 (OTD: On-Time Delivery)

  • 의미: 고객 요구 납기일에 맞춰 제품을 출하한 비율
  • 공식: (정시 출하 수 / 총 출하 수) × 100
  • 핵심: 일정 지연은 고객 불만과 직결되며, 생산계획의 현실성과 실행력 평가 지표로 사용됩니다.

2. 생산량 달성률

  • 의미: 계획된 생산량 대비 실제 생산된 수량의 비율
  • 공식: (실제 생산량 / 계획 생산량) × 100
  • 핵심: 계획 수립 정확도와 실행력을 점검하는 대표 KPI

3. 가동률 (Utilization Rate)

  • 의미: 설비가 실제로 가동된 시간의 비율
  • 공식: (가동 시간 / 총 가능 시간) × 100
  • 핵심: 공정별 병목 확인과 설비 활용도 개선에 필수

4. 불량률 (Defect Rate)

  • 의미: 전체 생산량 중 불량품의 비율
  • 공식: (불량 수량 / 전체 생산 수량) × 100
  • 핵심: 품질 수준과 공정 안정성을 나타내는 대표 지표

5. 공정 손실률

  • 의미: 공정 중 자재 손실이나 재작업으로 인해 낭비된 비율
  • 공식: (공정 손실 수량 / 총 투입 수량) × 100
  • 핵심: 생산성 향상을 위해 꼭 관리해야 할 숨은 비용 지표

6. 원단위 생산비 (Unit Cost)

  • 의미: 제품 1개를 생산하는 데 들어간 평균 비용
  • 공식: (총 생산비용 / 생산 수량)
  • 핵심: 생산효율, 원가절감 성과를 수치화할 수 있는 핵심 재무 KPI

7. 인당 생산성

  • 의미: 작업자 1인당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한 제품 수
  • 공식: (총 생산량 / 작업 인원 수)
  • 핵심: 인력 운영의 효율성을 판단하는 KPI로, 자동화 전환 전후 비교에 자주 사용됨

8. 설비 고장률 (Breakdown Rate)

  • 의미: 일정 기간 동안 설비 고장이 발생한 횟수나 시간의 비율
  • 공식: (고장 시간 / 전체 설비 운영 시간) × 100
  • 핵심: 예방보전 효과를 측정하고 설비 안정성을 개선하는 지표

9. 재공(WIP) 체류 시간

  • 의미: 제품이 공정 사이에 머무는 평균 시간
  • 핵심: 공정 간 낭비를 줄이고 리드타임 단축을 위해 반드시 모니터링 필요

10. 재고 회전율

  • 의미: 보유한 자재나 완제품 재고가 얼마나 빠르게 회전되는지 측정
  • 공식: (출고 수량 / 평균 재고)
  • 핵심: 과잉생산, 재고적체 여부를 파악하고 적정재고 운영을 위한 기준

결론

생산관리는 수많은 데이터를 다루지만, 그 중에서도 KPI는 공장을 움직이는 나침반입니다.

- 납기
- 생산량
- 품질
- 비용
- 설비
- 인력

이 6가지 범주에서 주요 KPI를 체계적으로 설정하고 관리하면, 단지 숫자 이상의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.

오늘 소개한 10가지 KPI 항목은 생산관리자가 실무에서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기본입니다. “측정하지 않으면 관리할 수 없다”는 말처럼, KPI는 관리의 시작입니다.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하우스 오브 댄싱 워터 재개와 아크로바틱 보여주기

상속세 체계 개편 유산취득세 도입

헌법재판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진전 관심